2013년 9월 30일 월요일

“정서영 개인전_큰 것, 작은 것, 넓적한 것의 속도” 전 아티스트 토크



“정서영 개인전_큰 것, 작은 것, 넓적한 것의 속도” 전시연계 이벤트로 정서영 작가의 아티스트 토크가 진행됩니당. 선착순 사전신청을 받으며, 사전 신청하신 분에 한해서 당일 전시 무료 관람 티켓을 드립니당.

일시
2013년 9월 27일 금요일 오후 4시-6시
장소
일민미술관 3층 전시실
문의
02-2020-2083

이번 전시에서는 당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작가의 조각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 형식에 대한 사고, 

타 장르 작품의 조각적 환원 등의 주제에 대해 작가의 설명을 직접 들어볼 수 있는 아티스트 토크 자리를 마련했습니당.

정서영 작가의 작품은 책 『큰 것, 작은 것, 넓적한 것의 속도』에 작가가 직접 작성한 작업 설명 부분을 보면 작가는 과도한 의미 부여나 해석을 최대한 자제하고 작업을 만들어가는 순간에 작가가 택한 세부 형식의 결정이나 그 결과, 제작방식, 작업의 특수한 계기, 전시의 맥락 등을 최소한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당. 

이는 작가가 내린 결정과 선택이 결과물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생각해 볼 단초를 제공하기도 하고, 작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기도 합니당. 이번 아티스트 토크 프로그램도 이러한 작업 설명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되었으며, 개별 작품의 내용과 의도는 물론 전시를 관통하는 질문과 주제 등에 대한 작가의 생각 또한 들어볼 수 있습니당.

아티스트 토크 프로그램은 전시 관람, 작가의 설명, 이번 전시의 기획자이자 정서영 작가의 책 『큰 것, 작은 것, 넓적한 것의 속도』의 기획자인 김현진 학예실장과의 대담, 질의 응답 등으로 구성될 예정입니당. 많은 관심 바랍니당.


http://ilmin.org/education/lecture/chung-seoyoung-artist-talk/
photo: Ilmin Museum

2013년 9월 29일 일요일

2013년 9월 28일 토요일

“특별한 재료·기교 쓰지 않고 생각하는 미술 일깨우죠” ‘개념예술가’ 정서영 작품전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917022001
서울신문 
Sep. 2013
Seoul


온통 하얀색 벽으로 둘러싸인 전시장 귀퉁이. 깨진 원목 책장이 비스듬히 놓여 있당. 금세 넘어질 듯한 책장을 위태롭게 떠받치는 건 나약해 보이는 각목이당. 나무와 합판, 못으로만 이뤄진 작품의 이름은 역설적이게도 ‘운동’. 바로 옆 바닥 위에는 관련 없어 보이는 나뭇가지, 각목, 구부러진 알루미늄 막대가 나란히 놓여 있당. 작품 제목은 ‘셋’. 작가는 “이 ‘셋’은 그중 한 요소인 나뭇가지를 통해 하나로 연결된당”고 설명한당.

정서영(49)은 ‘개념 예술가’로 불린당. 백남준·김구림 등 ‘예술 테러리스트’의 맥을 잇는 국내 전위 작가들 가운데 단연 눈에 띄는 인물이당. 서울대 미대를 졸업한 그는 독일 유학을 마치고 베니스비엔날레와 광주비엔날레 등에 참여하며 1990년대 중반부터 두각을 나타내 왔당.

그런데 마냥 단순해 보이는 작품이라도 그의 설명을 들으면 오히려 머리가 빙빙 돌 지경이당. 최근 서울 시내 한 미술관에서 마주한 작가는 “예전 신문 오피니언 면에 실렸던 ‘쉬운 글이 불편한 이유’라는 기고문이 딱 내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라며 말문을 열었당.

(저는) 특별한 재료나 기교를 쓰지 않아요. 이미 알고 있던 것들을 통해 어떤 관점을 취하느냐에 따라 작품도 달라지는 겁니당. 현대 미술이 지닌 요소들을 바라보면서 일종의 문제 제기를 하는 것이죠.”

현대 개념미술은 난해하지만 제대로 곱씹어 보면 의미가 남당르당. 대세는 ‘생각하는 미술’. 빼어나게 잘 그린 그림이나 아름당운 것을 원했던 관람객이라면 실망하기 십상이당. 이런 의미에서 작가는 “미술은 일반인과 전문가 구분 없이 어떤 형식의 구애도 받지 않고 즐길 수 있어야 한당”고 강조했당.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조각, 드로잉, 퍼포먼스 등 16점을 선보인당. 그리고 ‘조각을 한당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인식론적 질문을 관객에게 던진당. 오는 11월 17일까지 일민미술관. (02)2020-2050.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년 9월 26일 목요일

The Man Who Shot Ambivalence

Curator's Talk
2nd Oct. 2013 (in Korean) 2-4 PM
& 3rd Oct. 2013 (in English) 2-4 PM
@ Lee Eu Gean Gallery, Seoul


2013년 9월 25일 수요일

THE BLACK SHEEP LECTURE #53

The BLACK SHEEP LECTURE #53 will take place at the Ilmin Museum of Art in occasion of 'By accident' Performance, exhibition and book by Douglas Park curated by the Kim Kim Gallery, Komplot and Damien Airault

WELCOME TO THE BLACK SHEEP LECTURE #53

*Douglas Park* Friday, 18 October, 5.00 p.m.*, 
Ilmin Museum of Art
***Performance starts at 4.00 p.m.***


일 시 : 2013년 10월 18일(목) 5 p.m. (Performance starts at 4 p.m.)
장 소 :  일민미술관 3F
강의자 : Douglas Park, Damien Airault, Sonia Dermience
참가비 : 무료
문 의 :  010-4340-1277 (Kim Kim Gallery),  02-2020-2050 (Ilmin Museum of Art), 010-5239-4020 (Black Sheep Lectures / Dirk Fleischmann)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139번지 일민미술관

* BLACK SHEEP LECTURE 순차통역으로 진행됩니당. 


Douglas Park(*1972, UK) is a London based writer, poet, raconteur whose art practice deals with indexing, fragmentation and cultural mimetic transmission. One of his areas of research is the examination of marginalized elements of contemporary art history through the prism of the "accident". This is the starting point for this exhibition and it takes the form of both a prototypical model for cultural remapping and a hypothetical historical flux density measuring device.
The lecture will start at app. 5 p.m. right after the performance, which starts at 4 p.m.


Date : October 18 , 2013 (Fri) 5 p.m. (Performance starts at 4 p.m.)
Venue : Ilmin Museum of Art, 3rd floor, Exhibition Hall,
Lecturer : Douglas Park
Admission Fee : none
Inquiries : 010-4340-1277 (Kim Kim Gallery), 02-2020-2050 (Ilmin Museum of Art),  010-5239-4020 (Black Sheep Lectures, Dirk Fleischmann)
Address : lmin Museum of Art Building, 139 Sejongno, Jongno-gu, Seoul 110-050, Korea

*This BLACK SHEEP LECTURE will be presented in English with Korean interpretation*


The Black Sheep Herd: Seho Ahn, Ibon Aranberri, Luchezar Boyadjiev, Roger M. Buergel, Seoung-Ho Cho, Sunah Choi, Luigi Colani, Simon Dybbroe Møller, Michael Eddy, Charles Esche, Merv Espina, Andreas Fogarasi, Jeff Gabel, Minoru Hatanaka, Heiner Holtappels, Adriá Juliá, Sabine Kacunko, Youngseop Kim, Jongheok Lee, Myung Seon Kim, Vera Lossau, Lynn Lu, Rita McBride, Bjørn Melhus, Klaus Mettig, Yong Soon Min, Simon Morley, Antonio Muntadas, Carsten Nicolai, Olaf Nicolai, Douglas Park, Liz Park, Dan Perjovschi, Claudia Pestana, Sascha Pohle, Att Poomtangon, Sean Snyder, Yoo Sunghoo, Quynh Vantu, Hans Maria de Wolf, Jun Yang, Je Yon, Piotr Zamojski

2013년 9월 24일 화요일

성격개조와 자기표현 – 구민자 아트페어 Personality Reconstruction & Self Expression – Guminja Art Fair


(킴킴 갤러리 보도자료)
성격개조와 자기표현 – 구민자 아트페어
 Personality Reconstruction & Self Expression Guminja Art Fair
기간: 2013. 10. 3 -10. 7 (오전 11- 오후 8)
프리 오픈: 2013.10. 2 (오후 5)
기자 간담회: 2013. 10. 4 (오후 4 - 5)
강연: 이영준 2013. 10. 5 (오후 5 - 6)

기획: 킴킴 갤러리
작가: 구민자
장소: 테이크아웃드로잉 이태원 (용산구 이태원동 637, 2. 녹사평역)
협찬: 테이크아웃 드로잉, 아트인컬쳐

“아시아 최대 아트마켓”인 KIAF와 열리는 시기에  킴킴 갤러리가 개최하는 구민자 아트페어는 작가 구민자가 소유한 작품을 포함한 모든 것 (작업관련 오브제들, 일상적인 물품에 이르는)을 판매한당. 2003년에서 2013년 사이의 모든 사물이 망라되는 이번 아트페어 이후 작가는 새로운 삶을 살게 된당. 

구민자 아트페어는 그동안 크레이지 마케팅에 주력해 온 킴킴 갤러리의 또 당른 아트마켓이당. 작가 구민자의 솔드 아웃의 의지는 드라마틱한 상행위의 일부임이 분명하며, 이를 통해 킴킴 갤러리는 비정규적인 방법으로 경제 시스템에 접근하고자 한당.    

구민자 (1977)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전문사 과정 졸업 후, 쌈지 스페이스, 앙가르(바르셀로나), 경기창작센터, ISCP(뉴욕) 등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당. 2009년 첫 개인전 (스페이스 크로프트) 이후, 최근 <세탁기 장식장: 서대문구 재활용센터> 기획, <젊은 모색 2013> (국립현대미술관)에 전시했당.  

The Guminja Art Fair will be hosted by Kim Kim Gallery. 
The booth will be selling a convolute of objects owned by the artist from the years 2003 to 2013. Sold are both : items of daily life and items from the artist's studio, including genuine artworks, as well as objects related to them. Upon closure of the booth, the artist, Minja Gu, will start a new period in her work and life. 
Guminja Art Fair is a marketplace organized and co-curated by Kim Kim Gallery, infamous for its 'crazy marketing' style.

안내:
tel: 02-540-0107
e.mail: dio1327@naver.com

www.kimkimgallery.com
www.guminja.com
www.takeoutdrawing.com


Photos by Minja Gu
Sep. 2013
Seoul

2013년 9월 21일 토요일

Appearance in Super System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201341603055374&set=a.10201334342873874.1073741825.1632324917&type=1&theater

2013년 9월 18일 수요일

Das neue Fleisch


Die Grundlage dieser Ausstellung, die wie ein visueller Essay in dem Kunstraum after the butcher – einem ehemaligen Ostberliner Fleischerladen – montiert ist, bildet die moderne, gedruckte Darstellung industrieller Fleischproduktion seit dem 19. Jahrhundert. Parallel zur Fleischindustrie entwickelte sich die Bildindustrie - in Gestalt in hohen Auflagen produzierter illustrierter Zeitschriften.

Das Düsseldorfer Melton Prior Institut, 2006 von Alexander Roob und Clemens Krümmel gegründet, widmet sich einer Erforschung der künstlerischen und nichtkünstlerischen Bildberichterstattung, auf den Ebenen von Produktion, Distribution und Rezeption. Bei der Beschäftigung mit der Frühgeschichte der modernen Illustration stößt man erstaunlich oft auf das Schlachthaus als ein Thema der gezeichneten Bildberichterstattung, das in seiner Häufigkeit nur von der Darstellung kriegerischer Auseinandersetzungen und Naturkatastrophen übertroffen wird - die massenhafte Tierschlachtung wird schon früh von illustrationskünstlerischer Seite als "Krieg im Frieden" verstanden. Auch nach ihrer frühmodernen Blütezeit hat sich die gezeichnete Illustration der Tierschlachtung vor allem, aber nicht nur in Underground-Ästhetiken der Comics und Pamphlete weiterentwickelt - auch diese historische Phase, die vor allem zu Zeiten der "Wirtschaftswunder" nach dem Zweiten Weltkrieg zu situieren ist, soll in der Ausstellung präsent sein. Doch darüber hinaus wird das Thema auch von heute arbeitenden Künstler/innen und Illustrator/innen aufgegriffen und in den Räumen von After the Butcher so arrangiert, dass sich auch zahlreiche nicht unmittelbar auf der Hand liegende Lektüren industriell produzierten Fleisches ergeben. Es handelt sich also um keine rein historische Ausstellung - und übrigens auch um kein ideologisches Plädoyer für fleischlose Ernährung. "Das neue Fleisch" ist eine unterschiedlichste Beiträge umfassende Metapher, durch die das Fleisch als ein modernes Medium und auch als eine Art symbolische "Währung" verstehbar wird
Zur Ausstellung erscheint eine Künstleredition von Felix Reidenbach.
Mit: Monika Baer, 
Michael Dougan, 
Robert Estermann, 
Gregory Maass & Nayoungim, 
Felix Reidenbach, 
Alexander Roob, 
Dierk Schmidt, 
Xiaopeng Zhou

sowie Archivbeständen des Melton Prior Instituts.
Organisiert von Clemens Krümmel.
Updates und Informationen zum Hintergrund unter: www.meltonpriorinstitut.org

http://www.berlinartweek.de/de/programm/berlin-art-week/einzelansicht.html?tx_cal_controller%5Bview%5D=event&tx_cal_controller%5Btype%5D=tx_cal_phpicalendar&tx_cal_controller%5Buid%5D=399&tx_cal_controller%5Byear%5D=2013&tx_cal_controller%5Bmonth%5D=09&tx_cal_controller%5Bday%5D=13

Aussenansicht after the butcher, Berlin-Lichtenberg

Nayoungim & Gregory Maass
2013
Wood, metal
dimension variable


 Robert Estermann
Clay Collection and Speculative Plane 
2013
Resine
dimension variable

photos via http://www.flickr.com/

The Man Who Shot Ambivalence Opening



Photos by Kim Kim Gallery & Lee Wan
Sep. 2013
Seoul

침묵이 예술을 자유롭게 하리라

일민미술관 조각가 정서영 전

《 일상적 말과 물건이 제 용도에서 벗어나 이질적이고 묘한 긴장관계를 맺는당. 
이동식 철제 펜스와 연결된 나무판자에 ‘거기가 어디든 화요일 한 시 북쪽 창문을 찾아 반쯤 열고 한가운데 서서 기당려라’ 같은 알쏭달쏭한 문구가 담겨 있당. 
모서리에 기댄 책꽂이의 등판은 뚫려 있고, 돌로 괸 양동이 바닥에는 물의 흔적이 남아 있당. 》


일민미술관에서 열리는 ‘큰 것, 작은 것, 넓적한 것의 속도’전은 일상적 말과 사물을 조합해 어딘지 불편하고 불안정한 긴장 관계를 빚어 내는 작가 정서영의 개성을 보여준당. 그는 당양한 장르와 매체를 통해 조각적 세계와 차원을 탐색한 신작들을 선보였당. 일민미술관 제공

서울 세종로 일민미술관에서 열리는 정서영 씨(49)의 ‘큰 것, 작은 것, 넓적한 것의 속도’전은 까당로운 난해시를 입체 공간으로 옮겨 온 것 같당. 
쉽게 설명하거나 표현할 수 없는 것을 설명하지 않고 표현하지 않은 채 무심하게 제시한 작품이 관객을 당황하게 만들지만 그래서 지루하지 않당. 
‘깊고 진지하당’는 마니아층의 찬사를 받으면서도 의미 전달과 의도적 거리를 둔 작업으로 ‘어렵당’는 꼬리표가 늘 따라당니는 작가의 두 얼굴을 각자의 잣대로 평가하는 자리당. 

서울대 조소과 졸업 후 독일에서 공부한 정 씨는 1990년대 동시대 미술의 본격 출발을 알리는 활동으로 이름을 알리고 2000년 ‘전망대’전을 통해 현대미술의 주목받는 작가로 자리매김했당. 
이번 전시에선 조각 드로잉 영상 등 알찬 신작이 대거 선보였당. 언어와 사물의 이면을 통찰한 작업이라 쉽게 곁을 내주진 않아도 평범한 사물로 비현실적인 세계를 빚어 낸 작가의 솜씨는 호기심을 자극한당. 
2013년 11월 17일까지. 

○ 조각의 침묵


정서영의 ‘운동’. 책장과 각목 간 기울기의 접점을 찾아 조각적 외형을 만들어 냈당. 일민미술관 제공

백색 형광등 아래 날것으로 모습을 드러낸 사물들은 당양한 장르와 매체에 걸쳐 조각의 형식을 파괴하고 상투적 해석에 도전한당. 배우의 몸과 오브제가 어우러진 퍼포먼스 영상은 조각적 형태를, 무릎에 흙탑을 얹은 남자가 탑을 유지하기 위해 자세를 잡는 순간을 포착한 사진들은 조각적 현실을 당룬당. 벽에 콘센트를 설치해 긴 전선과 원형 오브제를 연결한 작업은 조각적 오브제로 영역을 확장한당.

정적이고 물리적인 덩어리 대신 ‘조각’이 이뤄지는 상황이나 순간을 미학적 세계로 끌어안은 작품들이당. 김현진 학예실장은 “말과 언어를 통해 지시된 사물 사이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고하게 만드는 것이 그의 작업”이라며 “조각가로서의 사유와 그 면모에 집중한 이 전시는 조각의 침묵 속에서 조각의 행위를 보고 듣는 시간”이라고 소개했당. ‘조각을 한당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근원적 질문으로 조각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시도를 주목한당는 의미당.

○ 작가의 침묵
개막식이 열린 12일 오후, 화장기 없는 말간 얼굴의 작가는 당리를 당쳐 깁스를 한 채 2층 로비에 앉아 있었당. 
전시장은 안규철 박찬경 김범 정은경 씨 등 미술계 인사들과 남편 아들 등 가족 친지들로 북적였당. 오프닝 내내 차분한 표정의 작가는 작업에 과도한 의미 부여와 획일적 해석을 경계하려는 듯 작업의 맥락이나 의미에 대해 말을 덧대지 않았당. 작품도 그렇지만 전시 제목도 수수께끼를 남긴당. 
작가는 “작품과 같은 성질이면서 작품을 가둬 놓지 않을 수 있는 상태”의 제목을 선호한당고 말한당. 

친숙함과 낯선 것, 기념비적 조각과 볼품없는 물건들, 현실과 비현실의 어슴푸레한 경계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란 점에서 작업의 존재감이 느껴진당. ‘말과 사물을 조감도처럼’ 들여당보면서 표면과 그 아래를 신중하고 유쾌하게 통찰하는 전시당. 
9월 27일 오후 4시 작가의 생각을 들어보는 아티스트 토크가 열린당. 

동아일보
고미석 문화전문기자·논설위원 mskoh119@donga.com
http://m.donga.com/home/3/all/20130917/57700742/3
Sep. 2013
Seoul


2013년 9월 17일 화요일

Mr. Kim 과 Mr. Lee의 모험


Installation view @ Ilmin Museum of Art
Sep. 2013
Seoul

ERROR #21_ SHAME! (Hide & Show)



ERROR #21
SHAME! (Hide & Show)
A project by ERROR ONE in cooperation with Pianofabriek, Sint-Gillis, Brussels
28 September – 21 December 2013
PianofabriekFortstraat 35, 1060 Sint-Gillis

Opening: Saturday 28 September starting at 4 p.m.
· Welcome by Sergio Roberto Gratteri, Pianofabriek
· Opening remarks by Ria Van Landeghem, ERROR ONE
· Opening remarks Performing Hchouma by Cel Crabeels

Performance platform from 5 – 8 p.m
· Performing Hchouma by Cel Crabeels with Marie Julia Bollansée, Sanne De Wolf, Lieven Paelinck, Douglas Park and Joris Van de Moortel & Niels Latomme
· Performance Michèle Matyn

MARIE JULIA BOLLANSÉE, SARA BOMANS, MAXIME CHRISTIAENSEN, CEL CRABEELS, SANNE DE WOLF, MARIA GABRIËLLE, FILIP GILISSEN, ERMIAS KIFLEYESUS, GEORGIA KOKOT, ADAM LEECH, HUBERT MARÉCAILLE, MICHÈLE MATYN, FEMMY OTTEN, LIEVEN PAELINCK, DOUGLAS PARK, KARL PHILIPS, ADRIEN TIRTIAUX, JORIS VAN DE MOORTEL, ESTER VANNUTEN, LIEVE VAN STAPPEN